분류 전체보기(273)
-
K-MOOC 데이터로 배우는 통계학 1~3주차
0. PPDAC 과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다섯개의 단계를 나타내며 각각 Problem, Plan, Data, Analysis, Conclusion을 의미함. Problem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문제 정의의 기준을 어떻게 혹은 어디에 두는지가 가장 중요함. 예를 들어 지구상에는 얼마나 많은 나무가 있을지에 대한 문제에서 나무의 정의에 따라 나무의 기준이 바뀔 수 있음. Plan 단계에서는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를 계획하는 단계임. Data 단계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Analysis 단계에서는 통계모형 등을 이용해 결론 도출 과정으로 진입함. Conclusion 단계에서는 앞의 과정을 통해 결론 도출을 하는 단계임. 1. 데이터 수집 과정 1) 실험: 의미 있는 결론을 도..
2021.10.04 -
소학회 준비위원회 8
너무 늦어버리긴 했지만.. 마지막 준비위원회 글이다. 추석 연휴에도 바쁘게.. 진행이 되었다. 추석 연휴동안 오티와 공동세션 커리큘럼을 짜고, 뽑을 사람들 확정을 짓고, 개설 신청서를 작성하며 정말 바쁘게 보냈다.. 그리고 대망의 오티날!!!! 공동세션에 대한 공지와 첫 공동세션 스터디 전까지 해야할일에 대해 공지를 하고, 각 분반별로 또 오티를 진행하기로 했다. 나는 공동세션 오티를 진행하고, 다른 분반의 학회장분이 부득이하게 불참하게 되어 내가대신 공지하고 나는 내 분반으로 이동했다. 진행을 하면서 정말 온라인으로 해야되는게 가장 슬펐다.. 화면속으로만 보고 하다니.. 눈물 광광 그리고 우리가 주로 이용하는 노션 페이지이다. 정말 급한 것이 아니라면 모두 노션으로 공지할 예정이며, 개인 프로 계정을 ..
2021.10.01 -
소학회 준비위원회 7
지난번 대표자 회의를 진행하며 모집 일정과 소학회 등록을 언제할지 결정하고, 노션으로 통일해서 진행하자는 회의를 했다. 그리고 공동세션 커리큘럼과 공동세션 모임을 언제할지 정해봤다. 9/15부터 9/18까지 4일간 모집을 하고 공통커리큘럼은 4차 회의를 이용해 짤 예정이다. 일단은 분과별 커리큘럼과 모집 공지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막판에 시간이 빠듯했는데.. 엄청 빡빡해서 다들 증말 힘드셨을텐데.. 증말 죄송하기도 하면서 감사하다. 우리도 회의를 통해서 커리큘럼 수정을 하고, 강의들도 다시 정했다. 그리고 다들 공지용 카드뉴스를 제작하고 폼에 들어갈 질문들을 보내주셨다. 나는 열심히 폼을 만들고 공지글을 작성했다. 폼을 만들고 불안해서 오타낸 것은 없는지, 뭐 잘못된건 없는지 이것저것 찾아봤는데.. ..
2021.09.16 -
소학회 준비위원회 6
두시간동안의 회의를 거쳐 커리큘럼을 확정과 소학회 이름, 얼마나 뽑을 것이며 어떻게 뽑을 것인지가 모두 정해졌다. 힘들었다 정말.. 중간에 나도모르게 격해지고 그런 것이 있었는데.. 주변에서 달래주심.. 본인이 격해졌다고 먼저 미안하다고 이야기하는데 다들 왤케 멋있어요.. 나도 그런인간이 되어보겠읍니다. 일단 우리 소학회의 이름은.. 지금 공개 안할래욥. 나중에 소학회 등록까지 마치고 공개하겠음. 그리고 인원은 현재 준비위원회를 포함해서 15명정도로 구성이될 예정이다. 면접 없이 폼으로만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이건 DS기준이고 다른 분과는 아직 모르겠다. 대표자 회의때 들어봐야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커리큘럼의 경우 소학회가 마무리되는 일정에 맞춰서 스터디와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
2021.09.07 -
소학회 준비위원회 5
두번째 대표자 회의가 끝나고.. 빠밤 어렵다 어려워 현대사회.. 과연 정말 내가 잘하고 있는건지.. 올바르게 하고있는건지를 모르겠음.. 정답은 없는 길이라고는 하지만.. 차라리 정답이 있는 길이 맘편한 것 같음.. 어떤게 더 좋을지 모르겠다.. 일단 대표자회의는 늘 그렇듯 분과별 진행상황에 대해 이야기나누고, 6개의 안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회의가 끝난 이후, 소학회를 기다리고 있을 사람들을 위해 진행 상황 공유 글을 올리기로 했고, 가수요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현재 가수요조사에 참여한 사람은 총 13명. 소학회 준비 위원회에 있는 사람은 15명이다. 슬픈건.. DE 희망자가.. 없어요.. 수요조사 상으로는.. 아직.. 눈물난다.. 이러다 ㄹㅇ 없어지는거 아닌지.. 그리고 대표자 회의에서 진행한..
2021.09.06 -
소학회 준비 위원회 4
그리고 네 분과중 DS 회의도 진행했었다. 사실 대표자 회의는 저번주에 했는데.. 글을 이제서야 느지막히 올렸다. 하하 DS 회의를 진행하면서 일단 간단히 짜본 커리큘럼에 대한 이야기와 교수님께 궁금한 점들과 피드백을 받아봤다. 커리큘럼을 대충 이렇게 짜봤고.. 근데 지금보니 너무 빡빡한 것 같다. 방학때 쉬지 않고 계속 해도 2주정도는 놀시간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2주정도 빼고 다시 짜보려고 한다. 그리고!! 대망의 교수님과의 대화. 정말 많은 것을 여쭤봤다. DA와 DS의 차이를 아직도 잘 모르겠다. 이에 대해 좀더 설명 부탁드리며 DS는 어느 부분에 더 집중하는 것이 좋을까? DA는 통계적으로 수치를 뽑고, 시각화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두었다. 인사이트 도출, 통계적 지식, 가시화를 중점적으로 보..
2021.09.02 -
소학회 준비위원회 3
각 분과별 대표자들과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한 회의를 진행했다. 현재 각 분과별로 어떤 활동을 주로 할지, 커리큘럼에 대한 이야기와 네개의 소학회가 함께 하면 좋을 것 같은 활동에 대한 이야기들을 나눴다. 일단 네 소학회가 함께 하면 좋을 활동들로 나왔던 것들은 1. 네 소학회 전체 멤버 중 총무, 기획 등의 역할을 따로 나눠보자. --> 지원금 사용, 공지사항 알리미 등 2. 공모전, 대회 등 타분과 소학회원들과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 3. 네 소학회를 모아둔 전용 카페나 노션 등을 만들어 운영하자. --> 공지알리미, 활동기록, 공모전 과정과 결과 기록 등 4. 네 소학회가 함께 배우면 좋을 과목들을 네개의 소학회 전체에서 스터디 팀원을 모으고 스터디, 발표준비 후 컨퍼런스 식으로 진행해보자. ..
2021.09.01 -
[1기] 소학회 준비위원회 2
일단 학지처에 전화해서 유사 활동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봤다. 주제를 이야기하는건지, 정말 스터디나 이런 활동을 이야기하는건지.. 모르겠어서.. 전화해본 결과 주제를 이야기하는 것이였고, 우리가 만들 네개의 소학회는 주제가 모두 다르니 상관없었다 후후. 그리고 오늘은 조사한 것을 토대로 회의를 하는 시간이였다. 그런데 이제 DS트랙만 곁들인. 안건 1. 소학회 이름 2. 앞으로 소학회에서 어떤 활동을 하면 좋을지 3. 커리큘럼의 큰 틀에대한 이야기 이렇게 네가지에 대해 이야기를 해봤다. 타 동아리, 학회들의 공통점 스터디(관심있는 주제로, 주1회/월1회 만나서 진행 현황 등 발표) 대외활동(대회출전) 기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 진행 커리큘럼(기초, 실습) 주별 회의->소통 중요 기초를 제대로 다..
2021.08.23 -
[1기] 소학회 준비위원회 1
우리학교 데이터 사이언스학과는 올해 신설된 과이다. 그리고 우리과가 신설되기 이전에는 데이터 과학 연계전공이라는 것이 있었고, 이 연계전공이 데사과를 대신하고 있었다. 우리과가 신설이라 없는 것이 많았다. 직속 선배도, 소학회도, 학생회도 없었다. 소학회는 쉽게 말해 과내 동아리라고 보면 된다. 학생회의 경우 학기 초 비상대책위원회 형식으로 구성되어 총 4명 추후 1명이 추가되어 5명으로 구성되었고, 드디어 2학기에 소학회를 만들어 운영하게 되었다. 그래서 8월에 소학회 준비위원회를 모집했고 나 또한 지원했다. 소학회는 각 트랙별로 데이터 엔지니어, 머신러닝 엔지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 애널리스트 총 네개의 소학회가 만들어질 예정이고, 나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쪽 준비위원회를 지원했다. 위원회가..
2021.08.19 -
[백신접종] 자양체육관 백신접종 봉사
제일 처음 백신 접종센터 봉사를 시작한 곳은 자양체육관이였다. 힘들지도 모르겠지만 직원분들도 잘해주셔서 잘 일할 수 있었다. 다음주부터 또 다시 나가는 자양체육관 봉사! 봉사자들은 체온측정 및 기록, 예진표 작성 자리 안내, 예진 번호표, 접종실 안내, 진동벨 전달, 접종증명서 전달, 1층, 2층에서의 길안내 일을 주로 하며 초록색 조끼를 입고있다. 자양체육관 백신 접종센터에서는 어떻게 접종이 이루어지는지 과정을 설명해보겠다. 간단히 약도를 그려보자면 아래 그림과 같다. 입구로 들어오면 왼쪽에 대기석이 있다. 아침 일찍 오신 분들, 오후 접종 시작 전에 오신분들의 경우 대기석에서 대기하고있다가 1번으로 가신다. 1번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일을 하고있는데 체온측정후 기록, 접수처(2번)로 안내하는 일을 한다..
2021.08.13